익명 사용자
로그인하지 않음
토론
기여
로그인
통진고위키
검색
교과기반프로젝트 문서 원본 보기
통진고위키
이름공간
문서
토론
더 보기
더 보기
문서 행위
읽기
원본 보기
역사
←
교과기반프로젝트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문서
이름공간의 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습니다.
문서를 고치려면 이메일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
에서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이메일 주소 인증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교과기반프로젝트는 2018년 처음 실시된 프로젝트로, 한가지 대주제를 정하고 그에 대해 과목별로 여러 팀으로 나눠서 탐구한다. 학생들 사이에선 흔히 R&E라고 불린다. [[황인철]] 선생님이 주도하는 프로젝트이다. <s>매우 힘들다</s> ==역대 프로젝트== ===2018: 거중기의 노동 부하=== 수원화성 축조에 사용됐던 거중기와, 그 거중기를 사용하는 노동자들이 얼마나 힘들었을지에 대해 연구했다. 물리, 수학, 생명과학, 역사팀으로 나뉘었으며, 주로 2학년 위주로 편성됐고 1학년 학생들도 일부 참여했다. 첫 회였기 때문에 1학년 학생들의 수에 제한을 두었고 그랬기에 시험을 보고 참여할 수 있었다. 먼저 사전에 필요한 지식을 교육받고 팀별로 학생들이 탐구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1학기에 그렇게 탐구를 하고 방학동안 국어교사 임용을 준비하시는 선생님을 모시고 발표 연습을 했다. 이후 다큐멘터리를 제작되었는데 학생들은 인터뷰를 하기도 했다<ref>프로젝트 참여 남학생들은 리포터 분이 아름다우셨다고들 회자한다.</ref>. 결과물로 브로셔와 [https://youtu.be/P1iy32k5MzY 다큐멘터리 영상]이 나왔으며, 브로셔는 학생들에게 한 권씩 배부되었다.<s>다들 인터뷰하는 모습이 어색하다</s> 팀별 소주제는 다음과 같다. *물리팀: 복합 도르래와 복합 기어 탐구. [[윤혜준]], 김민호, 김태현, 윤종운, [[어수범]]이 한 팀이었다. <s>[[어수범]]이 캐리했다는 것이 정설이다.</s> *수학팀: 산업공학적 관찰. 거중기를 사용할 때의 자세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거중기 노동을 체험하게 한 뒤 그 피로도를 조사했다. 사실 수학보다는 통계 위주의 활동이었다. [[정민진]], [[김요한]], [[박준환]], 주민서, 이민혁, [[안중원]]<ref>팀내 유일한 1학년</ref>이 팀을 이루어 활동했다. *생명과학팀: 작업생리학적 분석. 근전도 등등 측정하면서 제일 힘들었던 팀이라고 한다. 제일 힘들었던 보답인진 모르겠지만, 이 팀의 학생들이 브로셔 표지에 실렸다. [[서충원]], [[홍채원]], [[최진원]], [[권혁진]], [[채종은]], [[이훈모]]<ref>채종은과 이훈모는 1학년</ref>이 팀을 이루었다. *역사팀: 연구주제는 추가바람. 안타깝게도 다큐멘터리에서 독자 파트가 없다. 박상준, 송유정, 노승완, [[졸업생:이성연|이성연]], 김은주, [[용수민]]<ref>팀내 유일한 1학년</ref>가 한 팀을 이루었다. 이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엔지니어 정약용이라는 책을 다들 한 권씩 받았는데 그걸 다 읽은 사람이 한 명이라도 있는지는 미지수다. 수원화성 축조에서 정약용이 설계했던 사람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구 세 개를 [[나루관#예절실|예절실]]에 들여놓고 실험을 진행했다. 팔로 돌리는 기구, 잡고 뱅글뱅글 돌면서 돌리는 기구, 쳇바퀴처럼 안에서 달리며 돌리는 기구가 지금도 예절실에 있다. 학교에서 여러가지 활동하다 보면 예절실 갈 일이 가끔 있는데, 떡하니 자리잡은 쳇바퀴를 보면 누구나 한번씩 들어가보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처음 시작할 땐 좀 무섭기도 한데 몇번 하다보면 능숙해져서 재밌게 탈 수 있다. 이 프로젝트 담당이셨던 [[황인철]] 선생님은 고장날 수 있고 위험하다고 타지 말라 그러시는데, 선생님 안 계실 때 몰래 타보도록 하자.<s>눕는 것도 생각보다 안정적이어서 잠이 잘 온다</s> ===2019: 개량 유형거=== 2018년 거중기에 이은 수원화성의 두번째 기구, 유형거에 대한 연구이다. 물리(동역학), 과학(정역학), 수학, 국어, 역사 팀으로 나뉘었는데, 1학년 때 해본 학생들이 이미 이 프로젝트가 얼마나 힘든지 다 소문을 내놓아서 전 해보다 1학년 비율이 높아졌다. 1학년과 2학년의 비가 거의 비슷한 것 같다. 지난해와 비슷한 일정으로 진행되었는데, 어떤 사정이 있었는지 모르지만 활동이 조금씩 연기되어서 발표 연습과 다큐멘터리 제작이 2학기에 진행되었다. 마찬가지로 [https://youtu.be/neli9A1N_8w 다큐멘터리]가 유튜브에 업로드됐다. 팀별 소주제는 다음과 같다. *물리팀: 유형거의 펌핑 운동<ref>원래 물리학계에 있는 명칭은 아니고, 유형거에 하는 그 동작을 펌핑 운동이라고 명명한 것 같다</ref>을 분석해서 개량 유형거가 동력 발생 측면에서 어떻게 개선되었는지 연구했다. [[안중원]], [[이승현(7월생)]], [[용수민]], 김진석이 한 팀을 이루었다. 모두 2학년이며, 가장 인원이 적은 팀이다. *과학팀: 유형거의 하중 구조를 분석해서 개량 유형거가 얼마나 튼튼해졌는지 연구했다. 김아영, [[민근택]], 김어진, [[백승주]], 김영서, 송윤호, 김필중, 이가인, 류시우, [[장준민]]이 팀을 이루었다. 1학년만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인원이 가장 많은 팀이다. *수학팀: 재료공학적으로 접근해서 개량 유형거가 얼마나 튼튼해졌는지 연구했다. [[채종은]], [[구윤성]], 정민주, [[조민수]], 최민서, 김다인, [[임준혁]]<ref>김다인, 임준혁은 1학년</ref>이 팀을 이루었다. *국어팀: 당시 문헌 자료를 조사해서 한자로 표기됐던 기구들의 발음을 연구했다. [[강연수]], [[강혜원]], [[김형주]], [[손경희]], 주성현이 팀을 이루었다. 2학년만으로 이루어져있다. *역사팀: 연구 내용 추가바람. 김민주A, 김동성, 김민주B, 김민하, 손지우, 이은채가 팀을 이루었다. 1학년만으로 이루어져있다. 이 때에도 작년에 참여하지 않았던 사람들은 엔지니어 정약용을 받았다. <s>아쉽게도</s> 작년과 같은 재미있는 기구는 들어오지 않았다. 유형거 모형이 하나 들어오긴 했는데 그걸로 뭘 실험해보기엔 크기가 너무 작았다. 전년도와 달리 발표 연습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다. 실제 인천대학교 학생들이 1:1로 멘토링을 해주었다.<s>카메라에 찍힌 모습이 매우 어색했다</s> ===2020: 코로나19로 인한 신청자 부진, 개인별 예산부담 증가로 인하여 취소.=== <br /> ===2021: 개량 변이중 화차에 대한 탐구=== 초반부터 신청자가 많아서 면접을 보았다. 면접은 반과 번호 순으로 진행되었다. 면접질문은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된 동기를 자신의 진로와 엮어서 말하는 것이 대부분이었던 것 같다. 이과생들의 대부분은 물리팀을 지원했으며 문과 중에서는 유일하게 [[이세움]]이 물리팀에 지원하였다. 지원동기는 미대이기 때문에 보다 효율적인 디자인을 위해서라고 한다. 물리팀 : <추후기입예정> 수학팀 : <추후기입예정> 역사팀 : <추후기입예정> 국어팀 : <추후기입예정> <br /> ==각주== <references /> [[분류:교내활동]]
교과기반프로젝트
문서로 돌아갑니다.
둘러보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위키 도구
위키 도구
특수 문서 목록
문서 도구
문서 도구
사용자 문서 도구
더 보기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문서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