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다른 사용자 한 명의 중간 판 하나는 보이지 않습니다)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한국의 역사를 배우는 과목이다. [[통진고등학교]]에서는 현재 1학년 모든 학생에게 가르친다. 담당 선생님은 [[장문희]] 선생님이다. | 한국의 역사를 배우는 과목이다. [[통진고등학교]]에서는 현재 1학년 모든 학생에게 가르친다. 담당 선생님은 [[장문희]] 선생님이다. | ||
==수업== | |||
한국사 수업은 매시간 학생 발표와 선생님의 수업으로 구성된다. | |||
학기 초 한국사 발표 주제의 목록을 게시하면 학생들은 각자 자신의 원하는 주제를 생각해두고 수업시간에 주제를 하나씩 가져간다. 종종 인기 있는 주제들이 있는데, 여러 사람이 한 주제에 몰리면 가위바위보를 통해 가져갈 사람을 결정한다. 첫째주나 둘째주 발표는 결정하자마자 준비에 들어가야 하므로 어드밴티지가 있다.<s>수행평가 추가점수였던 거 같은데 확실치 않으니 수정바람.</s> 발표 날이 다가오면 PT 자료와 발표문을 준비해서 [[인문학세미나]] 카페에 올리면 된다. 형식 및 분량 제한이 있으나 엄격하지는 않다. | |||
학생이 발표를 마치고 나면 듣고 있던 학생들은 발표에 대해 궁금했던 점을 질문하고 이 질문 개수가 발표 수행평가 점수에 반영된다. 깊은 사고력을 요하는 질문만이 수행평가에 반영된다. 학기 초엔 발표가 끝나고 어색한 침묵만이 흐르지만 학기말이 되면 좀 익숙해지기도 하고 평가 기간이 촉박해지기도 해서 폭풍질문이 이어지게 된다. | |||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역사에 대한 단순한 사실 나열에 그치지 않고 여러 방면으로 접근하여 예리한 시선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 |||
== 지필평가 == | |||
지필평가에 대한 리뷰를 하자면 특이한 점이 하나가 있다. 역사적 사건에 대한 자신의 평가를 역사적인 근거로 설명하는 것이 서술형에 나온다. | |||
==수행평가== | |||
크게 발표와 지필로 나뉜다. 발표 수행평가는 위에서 말한 수업시간 발표와 발표 후의 질문으로 이루어져있다. 발표보다 질문 평가가 좀 더 사고력을 요하는 편이다. 질문의 개수가 한 학기에 4개 이상이면 만점인데, 아무 질문이나 한다고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유나 인과적, 지정학적 요인에 대한 심도 있는 질문을 해야 한다. 한편 그 심오한 질문에 자신의 의견을 담아 잘 대답해내면 그것도 점수를 부여하기도 한다. 점수도 중요하지만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수행평가이다. | |||
지필 수행평가는 암기형 수행평가 하나, 의견을 논술하는 수행평가 하나로 이루어진다. 암기형은 사전에 공지한 부분을 외우면 되는 것이니 별로 할 얘기가 없지만, 논술형은 자신의 의견과 근거를 미리 잘 정리해놓는 것이 좋다. 실제로 수행평가 전날 [[기숙사]] 인강실은 수행평가 내용 작성하느라 거의 무조건 만원 연등이다. | |||
==의의== | ==의의== | ||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말이 있듯 자신이 태어나 살아가는 나라의 역사는 바로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사 시험은 자주 애국심을 시험하는 자리가 된다. 만일 학교 한국사 시험이나 |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라는 말이 있듯 자신이 태어나 살아가는 나라의 역사는 바로 알고 있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한국사 시험은 자주 애국심을 시험하는 자리가 된다. 만일 학교 한국사 시험이나 [[모의고사]]에서 낮은 점수가 나오거나, 당연히 맞혀야 할 것을 틀리면 그 사람은 그 후 꾸준히 놀림받는다. 특히 통진고등학교 일부 학생들 사이에는 한국사 시험을 망치면 일본 동경대 매국노 전형을 쓸 수 있다는 소문이 돈다. | ||
[[분류:과목]] | [[분류:과목]] |
2021년 5월 8일 (토) 19:43 기준 최신판
과목명 | 한국사 |
담당교사 | 장문희 |
이수대상 | 1학년 전체 |
교과서 | 미레엔(2020) |
한국의 역사를 배우는 과목이다. 통진고등학교에서는 현재 1학년 모든 학생에게 가르친다. 담당 선생님은 장문희 선생님이다.
수업
한국사 수업은 매시간 학생 발표와 선생님의 수업으로 구성된다.
학기 초 한국사 발표 주제의 목록을 게시하면 학생들은 각자 자신의 원하는 주제를 생각해두고 수업시간에 주제를 하나씩 가져간다. 종종 인기 있는 주제들이 있는데, 여러 사람이 한 주제에 몰리면 가위바위보를 통해 가져갈 사람을 결정한다. 첫째주나 둘째주 발표는 결정하자마자 준비에 들어가야 하므로 어드밴티지가 있다.수행평가 추가점수였던 거 같은데 확실치 않으니 수정바람. 발표 날이 다가오면 PT 자료와 발표문을 준비해서 인문학세미나 카페에 올리면 된다. 형식 및 분량 제한이 있으나 엄격하지는 않다.
학생이 발표를 마치고 나면 듣고 있던 학생들은 발표에 대해 궁금했던 점을 질문하고 이 질문 개수가 발표 수행평가 점수에 반영된다. 깊은 사고력을 요하는 질문만이 수행평가에 반영된다. 학기 초엔 발표가 끝나고 어색한 침묵만이 흐르지만 학기말이 되면 좀 익숙해지기도 하고 평가 기간이 촉박해지기도 해서 폭풍질문이 이어지게 된다.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역사에 대한 단순한 사실 나열에 그치지 않고 여러 방면으로 접근하여 예리한 시선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지필평가
지필평가에 대한 리뷰를 하자면 특이한 점이 하나가 있다. 역사적 사건에 대한 자신의 평가를 역사적인 근거로 설명하는 것이 서술형에 나온다.
수행평가
크게 발표와 지필로 나뉜다. 발표 수행평가는 위에서 말한 수업시간 발표와 발표 후의 질문으로 이루어져있다. 발표보다 질문 평가가 좀 더 사고력을 요하는 편이다. 질문의 개수가 한 학기에 4개 이상이면 만점인데, 아무 질문이나 한다고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이유나 인과적, 지정학적 요인에 대한 심도 있는 질문을 해야 한다. 한편 그 심오한 질문에 자신의 의견을 담아 잘 대답해내면 그것도 점수를 부여하기도 한다. 점수도 중요하지만 비판적 사고력을 기를 수 있는 수행평가이다.
지필 수행평가는 암기형 수행평가 하나, 의견을 논술하는 수행평가 하나로 이루어진다. 암기형은 사전에 공지한 부분을 외우면 되는 것이니 별로 할 얘기가 없지만, 논술형은 자신의 의견과 근거를 미리 잘 정리해놓는 것이 좋다. 실제로 수행평가 전날 기숙사 인강실은 수행평가 내용 작성하느라 거의 무조건 만원 연등이다.